남도 청청해역에서 서식하는 매생이
남도 청청해역에서 서식하는 매생이
  • 조기영 기자
  • 승인 2004.01.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량면 하분마을과 숙마마을 매생이 수확한창

겨울 강진만에 푸른 매생이가 돌아왔다. 남도의 청정해역에서만 서식하는 매생이를 아는 이들은 많지 않지만 식도락가들 사이에 매생이는 명성을 얻고 있다. 술자리가 많아지는 연말연시 술로 찌든 속을 푸는 데 매생이는 최고의 인기다. 특히 12월에서 2월 사이가 제철인 매생이는 지금이 초록의 생생함과 천연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적기.

강진만이 펼쳐진 마량면 하분마을과 숙마마을에서는 대보름을 앞두고 본격적인 매생이 수확이 시작됐다. 바닷물에 장대을 박고 매생이발을 띄워놓은 모습은 김양식장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인공적인 방식으로 재배하는 김과는 달리 매생이는 자연산 포자를 채취해 키우는 순수한 자연산이라는 것이 주민들의 설명이다.

신마제방 수문을 경계로 하분, 숙마마을 매생이발은 구분된다. 10칸으로 나누어져 50여m 길이로 설치된 매생이발을 주민들은 한뙈라는 단위로 부르고 있다. 한 가구에서 보통 4뙈에서 많게는 10뙈 이상 발을 막아 매생이를 키우고 있다.

한해 농사일을 마감한 11월이 되면 하분, 숙마마을 주민들은 매생이 농사를 위한 준비에 들어간다. 우선 대나무로 엮은 발을 물살이 잔잔한 연안 바다로 옮긴 후 긴 장대로 바다에 말뚝을 박아 대나무발을 고정시킨다.
수온이 차갑고 거센 파도가 없는 바닷물 속에서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한 매생이는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해 2~3개월의 성장기간을 거쳐 수확이 시작된다.     

채취시기가 되면 주민들은 이른 아침부터 바쁘게 움직였다. 간만의 차가 가장 적은 때인 조금을 제외하고 물때에 따라 하루 서너시간 정도 매생이를 채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날이 밝기 시작하면 주민들은 서둘러 배를 타고나가 발에 붙은 매생이를 손으로 직접 떼어냈다. 바다에 떠 있는 매생이발을 지렛대로 들어올려 배에 고정하고 10여㎝ 길이로 자란 매생이를 일일이 손으로 따내 프라스틱 상자에 가득 담아냈다. 서너시간 채취작업을 마치면 두세개 정도의 플라스틱 상자에 싱싱한 푸른 빛깔의 매생이가 그득했다.

매생이를 따는 작업은 보통 부부가 함께 하고 있었다. 5m 길이의 목선을 함께 타고 매생이발이 고정된 장대를 이리저리 피해 자신들 몫의 매생이발로 이동한 다음 발 양쪽을 지렛대로 들어올려 매생이를 정성스레 따는 주민들의 얼굴에는 행복감이 넘쳐났다. 

채취한 매생이를 싣고 돌아오면 마을 아낙들은 일정량의 매생이를 바닷물에 일일이 행궈 어른 주먹크기의 모양으로 다듬어냈다. 이 한 덩어리를 ‘잭이’라고 부르는데 대략 450~500g정도다. 한뙈에서 생산하는 물량은 200~300잭이로 마을 주민들에게 큰 소득원이 된다.

초벌로 처음 따낸 매생이의 산지 가격이 2천500원선이며 두벌까지 채취가 가능하다. 한 가구당 4뙈 정도 매생이를 생산하는 하분마을 주민들은 600여만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하분마을 이상용(55)이장은 “추분을 전후해 수심 4, 5m의 파도가 없는 바다에 대나무로 엮은 매생이발을 막으면 한해 매생이 농사가 시작된다”며 “매생이는 강진만 등 일부 해안에서만 채취가 가능해 주민들에게 높은 소득을 안겨주는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분, 숙마마을에서 애초부터 매생이를 키운 것은 아니었다. 15년전까지 마을 주민들은 김양식을 주업으로 삼았다. 그 당시 매생이는 김 양식발에 달라 붙는 잡초 정도로 취급을 받았다. 상품가치는 없지만 맛은 좋아 자연으로 자란 매생이를 뜯어 국을 끓여먹고 간간히 장에 내다 팔아 푼돈 정도 벌 수 있는 해조류에 불과했다.

그러나 인공 배양으로 대량생산하던 김가격이 폭락하면서 천대받던 매생이가 귀한 대접을 받게 됐다. 일부 청정해안에서만 자랄 수 있는 까다로운 생육조건과 풍부한 영양가가 알려지면서 매생이를 찾는 주문이 늘어났다. 

매생이를 채취하는 요즘 전국에서 주문전화가 수없이 걸려오고 매생이를 찾는 상인들의 차량이 수십대씩 마을로 찾아든다. 생산량이 부족해 밀려드는 주문량을 모두 대지 못할 정도다.

마을주민 우성연(67)씨는 “광주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사람으로부터 1천800잭이 정도 주문이 들어와 있다”며 “4뙈의 매생이발에서 따낼 수 있는 양으론 부족해 마을주민들의 물량까지 함께 택배로 발송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매생이를 찾는 주문이 들어오면 주민들은 한잭이씩 비닐팩으로 포장해 아이스박스에 50잭이 단위로 담아 택배로 발송한다. 주민들은 직거래로 한잭이당 3천원의 소득을 올려 살림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