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진과 배우는 갑골문자 이야기<13>
김우진과 배우는 갑골문자 이야기<13>
  • 강진신문
  • 승인 2015.11.09 0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우진 · 강진군녹향월촌인성학교 훈장>


監 獄 (감옥)


볼  감(監)

갑골문
금문

'볼 감(監)'의 갑골문은 큰 눈과 사람, 큰 그릇의 조합이다. 그릇(皿)을 내려다보고 모습을 그렸다. 그릇에 무엇이 있어 내려다보고 있는 것일까. 혹시 물에 비친 자신의 얼굴, 그렇지만 술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술을 담근 후 그 변화를 살피는 모습이라는 것이다. 아무튼 그림만으로도 '보다' '살피다' '비추어보다'의 뜻을 능히 추론할 수 있는 監(감)은 監督(감독), 監視(감시), 校監(교감)등의 단어로 쓰인다. 인류의 그릇은 토기(土器)로 시작하여 점차 청동으로 발전해갔다. '쇠 금(金)'이 붙는 '거울 감(鑑)'자가 이를 증명한다. 물을 거울삼아 비춰보던 고대인들은 마침내 청동거울에 자기를 비춰볼 수 있게 된다. 청동은 물보다 선명해서 일까. 감정(鑑定), 감별(鑑別), 감상(鑑賞)등의 단어에서 보듯 鑑(감)의 어감이 監(감)보다 훨씬 디테일하다.
 

감옥/송사 옥(獄) ,    말씀 언(言)

감옥 옥(獄)
말씀 언(言)
'감옥 옥(獄)'의 자소(字素)는 '두 마리의 개'와 '말씀 언(言)'이다. 어떤 학자는 죄인을 두 마리의 개가 지키고 있는 장면을 묘사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럴듯하지만 가운데 언(言)에 대한 해석이 미약하다. 또 다른 학자는 가운데 言은 '말씀 언'이 아니고 죄인에게 경형(黥刑)을 행할 때 형구(形具)로 쓰던 '끌'의 상형으로 주장한다. 하지만 이 또한 죄인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해석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보다시피 가운데 기호는 언(言)을 나타내는 갑골문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옥(獄)은 무엇을 말하고자 그려놓은 기호일까. 혹 견원지간(犬猿之間)에 잘잘못을 다투는 '두 사람의 말'을 형상화 한 것은 아닐까. 송사(訟事)에 지면 감옥에 가야할 판이니 생사를 건 상욕상투(相辱相鬪)가 개짓는 소리처럼 시끄러웠을 것임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姓 氏 (성씨)


성  성(姓)

왜 우리는 성씨(姓氏)라고 말하는 것일까. 거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성 성(姓)'은 '여자 여(女)'와 '날 생(生)'으로 구성되어있다. 문자대로 풀면 '여자가 낳다' 또는 '여자에게서 태어났음'이다. 姓(성)은 자녀들이 태어나면 아버지의 성이 아니라 어머니의 성(姓)을 따랐음을 보여 주는 글자다. 모계(母系)의 혈통을 따랐다는 말이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중국의 고대 성씨에는 女(여)가 들어있는 경우가 많다. 염제 신농씨의 성이 姜(강)이고, 황제의 성이 姬(희)였던 이유는 어머니가 각각 姜(강)씨와 姬(희)씨였기 때문이다. 순임금의 성도 姚(요)이다. 이렇듯 姓(성)은 고대에 모계사회(母系社會)가 있었음을 증거 해 주는 글자이다. 정민 교수도 「살아있는 한자교과서」에서 고대의 건국 신화의 주인공들은 알에서 태어났는데 이는 부계(父系)가 분명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난생설화는 곧 모계사회를 반영한 이야기라는 것이다.


성씨  씨(氏)

갑골문
금문
姓(성)이 모계혈통의 후손이라면 氏(씨)는 부계혈통(父系血統)의 후손을 말한다. 갑골문은 밤톨 같은 큰 씨앗을 심기위해 허리를 숙이고 있는 모습 같다. 여기에서 씨를 내리고 있는 사람, 남성을 묘사한 것이라는 흥미 있는 주장이 나온다. 아무튼 씨앗만큼 부계혈통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단어는 없을 것이다. 금문의 해석은 더욱 실감난다. S자 모양을 남자로, 아래 세로막대에 새겨진 점을 씨앗으로, 즉 씨를 내리고 있는 남자라는 것이다. 일부 학자는 세로막대와 점하나를 '열 십(十)'으로 보고 '남자에게서 태어난 10대의 자손'을 의미한다는 해석을 내놓기도 한다. 어느 해석이든지 '남자'와 '씨앗'이 핵심임을 알 수 있다. 예로부터 氏姓(씨성)이 아니고 姓氏(성씨)라고 써왔다. 부계(父系)사회보다 모계사회(母系社會)를 먼저 경험했던 집단무의식에서 비롯된 언어습관이 아닌가 생각된다.

 

興 亡 (흥망)


흥할  흥(興)

'일으키다 흥(興)'의 갑골문을 보자. 4개의 손이 보인다. 힘을 합쳐 무엇인가를 들어 올리는 모양이다. 글꼴은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의 구체적 표현이다. 해나 달은 구체적인 물상이 있다. 따라서 그것을 의미하는 글꼴을 만들어내기는 쉬울 수 있다. 그러나 '사랑'이나 '도리(道理)' 등은 관념속의 사유로서 물상이 있을 리 없다. 해서 그 의미를 담아내는 글꼴을 만들어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흥(興)도 후자 쪽에 속하는 글자다. 시각적인 글꼴에서 '일어나다' '흥겹다'를 느낄 수 있도록, 어떻게 그 작업을 할 수 있었을까. 하지만 고대인은 마침내 그 일을 해내고 만다. 흥(興)의 갑골문이 바로 그 결과물이다. 여기서의 손은 무엇을 함의할까. 협동이라고 본다. 협동은 긍정적인 변동을 촉진한다. 당연히 흥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마음까지 맞으면 더할 나위 없다. 동락(同樂)을 맛보는 경지, 진정한 흥(興)의 세계가 도래한다.
 

망할  망(亡)

'망할 망(亡)'의 고대글꼴은 사람이 안 보이는 곳에 숨는 모습이다. 이 그림에서 '달아나다', '없어지다', '죽다' 등의 뜻이 여물어져 나왔다. 逃亡(도망), 敗亡(패망), 死亡(사망) 등에서 그 쓰임이 확인된다. 사람이나 조직에서 망(亡)을 재촉하려면 흥(興)을 빼앗으면 된다. 흥을 빼앗는 행위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 첫째는 독단(獨斷)이다. 다른 의견이 설자리가 없다. 둘째는 전가(轉嫁)다. 잘못이나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씌우는 것이다. 공자는 이런 사람을 소인이라 했다(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셋째는 기만(欺瞞)이다. 남을 그럴듯하게 속이는 것이다. 일종의 고난도 페르소나이다. 이 셋은 일상에서 강한 추진력, 뛰어난 생존력, 유연한 순발력으로 둔갑한다. 참과 거짓을 가려내기가 그만큼 힘이 든다. 흥망(興亡)의 관계는 어쩌면 미묘한 긴장관계인지도 모르겠다. 선이 분명한 대립관계라면 누가 흥(興)함을 버리고 망(亡)함을 택하겠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