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한 도자기에 통통 튀는 현대적 감각을 입히다
고고한 도자기에 통통 튀는 현대적 감각을 입히다
  • 김영미 기자
  • 승인 2015.08.18 10: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자축제 기념 국내도예작가 작품 초대전

현대도예의 흐름, 시대 문화, 창작성 담긴 작품 전시

선열들의 숭고한 예술혼을 길이 보존하고 세계적으로 독창성을 인정받는 고려청자문화를 계승·발전시켜 나가는 강진청자축제에 국내도예작가들의 수준높은 예술작품이 특별 전시됐다.

축제 9일간 축제장 본무대 옆 (구)청자공동판매장 1층에 기획된 국내도예작가 작품초대전은 현재 국내·외에서 활발히 작품 활동과 전시회를 갖고 있으며 주목 받는 명장·중견작가 30명의 작품이 한자리에 전시됐다.

전시회 작품들은 현대도예 흐름과 경향, 개성 넘치는 작가 작품을 통해 응용기법, 거친 흙의 질감의 고유특성을 표현한 창작성 등이 시선을 이끈다.

 
김장용 작가의 작품에서는 어떠한 대상을 순수하게 받아들이는 것보다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거나 혹은 지금까지 인식하지 못했던 측면을 재구성해 내는 표현의 방법이 담겼다. 작품은 물레성형작품으로 찌그러뜨린 자연스러운 형태를 청자유약으로 산화 소성한 작품이다.
 
박청효 작가는 백자로 제작한 퇴수기와 다관을 조합한 작품을 선보였는데 고전적인 예스러움과 세련된 현대미를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도록 표현하였다. 순백의 백자토 위에 청화를 절제 있게 사용하여 청자와는 다른 분위기를 감상할 수 있다.
 
이상훈 작가의 작품은 유약을 쓰지 않은 채 별도의 틀을 만들어 그 속에 조형물을 담아 구워내 독특한 효과를 작품속에 발현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해남군에서 4대째 가업을 이어온 전라남도공예명장 정기봉 작가의 녹청자 작품은 청자와 달리 녹색을 띠고 있어 녹청자라 불리며 신라~고려 초에 생산 된 역사적 사료가치가 매우 높은 자기역사의 한 장르다. 강진청자와는 또 다른 거친 이미지의 녹청자 작품을 강진청자와 비교 감상하는 것도 청자축제의 특별한 감상거리일 것이다.
 
최재일 작가는 새를 주제로 한 작품을 출품했다. 작품은 본바탕, 결, 소재의 표면 효과 등 현대 미술의 여러 가지 소재의 재질감을 예술표현에 그대로 도입하여 단순하게 절제되고 정리된 새와 돌의 자연스러운 텍스츄어가 묘한 분위기를 품고 있다. 최 작가는 작품을 색을 혼합한 슬립케스팅으로 제작하여 새는 어두운색조의 유약으로 처리 했으며 받침의 돌은 텍스츄어의 자연스러움을 위해 무시유로 마무리하였다.
 
장용만 작가는 청자호를 출품하였다. 풍만하게 제작된 청자호의 바탕에 오로지 단순한 선을 이용하여 여백의 미와 리듬감이 반복되도록 표현된 작품이다. 청자를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단순하지만 백상감이 주는 색감과 여백의 푸른빛이 조화를 이룬 작품이다.
 
김상호 작가의 작품은 도자조형 작품이다. 사각의 입방체 안에 건물을 연상시키는 듯한 구조를 구성하였고 유약은 단단함을 주는 어두운 색조의 유약으로 처리하였다. 작가는 작품의 표면처리를 통해 건조하고 주름진 질감을 보여주는데 매끈한 도예작품과는 다른 묘미를 보여준다.
 
정봉준 작가의 작품은 작업의 콘셉트 개념이나 제작기법이 전통 도자와는 완전히 다르다. 형태는 컴퓨터를 이용한 CNC작업으로 기본 형태를 제작하고 흙물을 이용해 여러 개의 판을 만들어 판과 판끼리 정밀하게 붙여 본인이 구상하는 형태를 제작하였다. 소성한 제작과정의 기술적인 부분이 다소 난이도가 높은 작품이다.
 
김병율 작가의 출품작은 염화안료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안료로 나타낼 수 없는 중간 톤의 색감을 표현하고 있다. 화려한 듯 단순하고 단순한 듯 화려한 작품으로 수채화 같은 느낌의 몽환적 느낌의 작품을 선보인다.
 
김시만 작가는 분청사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분청작품을 출품했다. 분청사기는 하얀 분장토와 어두운 빛깔의 태토의 대비를 자연스럽게 나타낼 수 있게 귀얄장식기법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가까운 거리보다 거리를 조금 두고 바라보는 아름다움을, 당장 느끼는 아름다움보다는 돌아서서 느끼는 잔상의 아름다움을 지니고 싶다는 작가의 예술관이 투영된 작품이다.
 
노혜신 작가의 작품은 사각형 등 단순한 기학하적형태에 단층적인 절개면 표현을 위하여 색슬립을 슬립케스팅기법으로 수차례 반복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계산되어지고 패턴화 된 문양을 절개해 낸 작업이다. 작품에서는 색슬립간의 색감조합과 단순한 형태속에 화려한 색감을 감상해 볼 수 있다.
 
이학수 작가는 옹기호롱을 출품했다. 그는 보성에서 9대째 옹기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전남무형문화재이다. 지금은 쓰임새가 없는 옹기호롱은 그 자태부터가 당당하고 조형적이다. 그의 옹기는 남도 들녘의 유장한 곡선과 검붉은 대지를 쏙 빼닮은 듯하다. 아련한 옛것에 대한 향수를 일으키는 옹기와 화려한 청자를 비교 감상 해 볼 수 있다.
 
이광진 작가의 작품에는 전통적 물레작업과 회화성을 기물에 현대적인 장식기법으로 종이를 수없이 찢어 몸통에 붙이고 백토, 색토, 자토, 철분토 등을 수없이 바르는 반복작업으로 표현된 그의 작업은 고단한 작업 끝에 얻어질 수 있는 달콤한 결과물이다. 추상적이고 자유분방한 면 구성을 색화장토를 사용하여 단순한 형태를 조화롭게 표현해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