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공들의 삶속에서 피어난 천년 비색 '고려청자'
도공들의 삶속에서 피어난 천년 비색 '고려청자'
  • 김영미 기자
  • 승인 2015.08.12 12: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청자감상법

아름다운 유색·기형·문화성 갖춘 고려 대표 예술품
시문 문양 당시 수요자 사상·문화적 취향으로 승화

천년의 역사를 지닌 고려청자의 맥을 이어 받은 지역에서는 강진청자축제장에 그 우수성과 의미를 되살리기 위해 다양한 작품을 전시하였다. 예술적 가치를 지닌 고려청자로 평가되는 것은 색깔, 형태, 문양 등이 매우 아름답고 제작기법이 정교하기 때문이다. 고려청자는 아무 무늬도 없는 소문이거나 음각, 양각, 투각퇴화 등의 무늬가 다양하게 그려져 있다. 축제장에서 고려청자를 감상하기 전 역사적 배경과 제작기법을 알고 접하면 유구한 천년의 역사를 가진 고려청자를 더 깊이 배워볼 수 있을 것이다.

■고려청자의 역사적 배경
고려시대의 청자는 우리 민족의 훌륭한 예술품 중의 하나이다. 고려청자는 주로 서남 해안에 분포되어 있으며 가마에서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중국 도자기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12세기부터는 고려만의 특징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섬세하고 부드러운 곡선의 조형미를 지니게 된다.

청자의 절정기에 나타난 형식이 상감청자로 상감기법은 처음에는 나전칠기와 금속공예에 사용되던 기법이었다. 상감청자의 출현으로 고려청자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해 유약은 얇고 투명해져서 파르스름한 유약을 통해 상감무늬가 선명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고려청자는 세계적인 명품으로 고려초기에는 비색이 가장 아름답고 조형감각이 특히 뛰어난 순청자(純靑磁), 중기에는 세계 초유의 상감청자(象嵌靑磁), 후기에는 이외에 철사(鐵砂) 등으로 그림을 그려 장식하는 회청자(繪靑磁 )가 유행하였다. 고려청자는 고려 도공이 하늘을 청자에 나타내고 싶어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고려청자에는 학과 구름이 그려져 있다. 12세기 전반기에 상감무늬가 나타난 이후에는 상감청자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진사채가 곁들여지게 된다.
 

■고유의 멋으로 담겨진 상감기법
고려청자는 두가지 색, 기법 면에서 앞서 갔다. 그 하나가 상감기법으로 고려도공들의 독창성이 잘 나타나 있는 대표적 장식기법이다. 회화적 아름다움을 높이기 위하여 기물에 홈을 파서 다른 재료를 넣는 상감기법은 다 구워진 후 백토는 흰색, 자토는 검은 색을 띠게 돼 우리 청자의 고유한 멋으로 담겨지는 것이다. 대표적인 상감기법은 청자매병들이지만 다양하게 응용되었다.

도자기중 차를 마시는 그릇인 완의 경우에 상감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완도 있다. 또 의례에 사용된 용기들도 다양하다. 사자나 오리형 향로의 경우에는 그주둥이에서 은은한 연기와 향이 나오도록 정교하게 빚어졌다.
 

■청자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비취색
고려 도공이 하늘을 청자에 나타내고 싶어서 만들어진 비취색은 그들의 장인정신이라 말할수 있다. 청자는 12세기부터는 고려적인 특징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굽는 기술도 발전하면서 조금은 탁한 비취색에서 밝은 비취색으로 발전하였다.

청자는 양질의 정선된 바탕흙으로 빚어 800도에서 한 번 구워낸 다음 철 성분이 든 유약을 발라 1300도에서 한번 더 구워지게 된다. 두 번째 구울때에는 가마의 온도가 높아지면 아궁이를 흙으로 막고, 이때 청자의 푸른빛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고려청자의 기물 형태·문양
고려청자는 항아리, 주전자, 연적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색깔, 형태 문양의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청자에는 섬세하고 연약한 미를 대표하는 무와 정적에 대한 귀족들의 동경이 담겨져 있다. 매병은 전이 좁고 어깨가 둥글고 허리가 유연하게 곡선을 이루며 굽이 넓다. 수병은 물을 담은 그릇이고, 정병은 주둥이가 길고 굽이 넓은 병이다. 평병은 넓적한 면이 있고 전이 좁다.

고려청자에 시문된 문양은 그 당시 수요자들의 사상과 문화적 취향이 잘 나타나 있다. 청자에 주로 시문된 문양으로는 연꽃문, 당초문 등이다. 또 하나는 서정적이고 청빈한 생활을 염원하는 운학문, 포도동자문 등이 있다. 이외에 조롱박, 참외, 죽순, 용, 연꽃 등 우리의 자연을 소재로 한 여러 가지 무늬를 그렸다. 그 위에는 엷은 상감문양이 조화롭게 담겨져 있다.
 

■조형미와 균형미가 담긴 고려청자
고려청자는 과함이나 덜함이 없는 자연스러운 멋이 특징이다. 양감이 아름다운 청자나, 청자귀형주자처럼 조형미와 균형미가 아름다운 상형청자를 감상해 보면 잘 구성된 조형미와 균형미에 감탄사를 연발하게 만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