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으로 본 고려불화와 청자
문양으로 본 고려불화와 청자
  • 강진신문
  • 승인 2002.08.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우택(동국대학교)
고려불화에 사용된 문양은 연화당초원문, 운봉문, 목단당초문 그리고 보상화문, 국화문과 귀갑문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더욱이 고려불화는 이들 많은 종류의 문양을 한 작품에 동시에 수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으나 대부분의 경우 표현되는 장소에 따라 종류를 달리하고 있다.
고려청자에 사용된 문양은 불화 못지 않게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유명한 운학문상감청자의 표면을 가득 메운 문양의 세계를 연상하여 보면 문양이 차지하는 비중이 결코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고려청자에 사용된 문양을 잘 살펴보면 연화문, 목단문, 국화문, 초화문, 운학문 등 적어도 중심적인 문양의 종류만큼은 고려불화의 그것과 그다지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얼마 전 까지만 하여도 청자는 고려미술 나아가 한국미술을 대표하는 분야임에 틀림없었다. 따라서 고려청자, 넓게는 도자기 연구는 그러한 대표성에 걸맞게 타자와의 차별성을 강조하여 독자성, 자율성을 보다 선명하게 부각시키려는데 관심을 두고 진행하여 온 인상을 지울 수 없다. 한국미술의 우수성 또는 정체성을 도자미술에서 찾고자 하였던 것은 식민지사관 산물 중 하나였고, 이를 극복하고자 폭 넓게 미술사 연구가 진행되면서 같은 시대가 낳은 다른 동격의 미술 분야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게되었다.
불화는 비록 도자와는 재질은 물론 제작방법, 용도, 수용태도 등 미술 양식상 결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어 보이며, 따라서 지금까지도 양자의 비교 고찰을 통한 연구는 시도된 적이 없었던 것 같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두 미술은 표면을 장식하는 의장, 즉 문양에서 만큼은 분명 상통하는 점이 있는 것 같다.
평행선의 안 쪽 공간에 양옆으로 펼쳐진 듯한 형상의 당초문은 고려불화와 청자가 공유하였던 또 하나의 문양이다. 물론 당초문은 조형미술품에 다양한 형상으로 사용된 가장 보편적인 의장이기 때문에 양자만의 공유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형상의 면에서는 아주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한편, 12세기 이후 보편적 문양으로 자리잡은 청자의 운학문은 고려불화에서는 유례를 찾을 수 없다. 마찬가지로 고려불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운봉문은 청자에서 볼 수 없었고, 도자 편년상 13세기가 되어서야 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고려불화 보편의 운봉문이 청자에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현존 고려불화와 근접한 시기인 13세기 후반이며 형상 또한 유사하다는 사실이 매우 흥미롭다. 청자에 운봉문이 적극적으로 표현되기 시작한 원인이 불화의 영향인지 아닌지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전혀 다른 미술 쟝르이지만 문양은 공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고려불화와 청자는 기능 그리고 제작태도가 전혀 다름에도 불구하고 중심 문양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 이유는 그저 양자가 귀족적 취향의 미술이었기 때문일 것이라는 상식적인 견해 이상은 아직 구체적이지 못하다. 아마도 불화와 청자의 문양 공유 원인의 규명은, 당연한 듯 여겨지던 고려시대 후기 불상과 불화의 도상의 공유 또는 모티프의 상호 간섭의 상황도 이제서야 겨우 밝혀진 정도인 것을 염두에 둔다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양자는 동일시대이며 귀족적 취향 아래라는 동일한 상황에서 제작되었다는 두 가지 사실만으로도 서로의 관련성이 어떠한 형태로든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고려불화는 물론 청자 역시 중국을 떼어놓고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적지 않다. 문양도 마찬가지여서 이곳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극히 일부의 문양을 제외하고는 이미 중국의 동류의 미술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다. 특히 청자의 문양을 포함한 기형 등의 검토에는 중국의 송ㆍ원만이 아니라 고려와 밀접하였으나, 그 동안 관심밖에 있었던 료(遼)와 금의 도자를 비롯한 미술경향을 도외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불교미술에서는 료ㆍ금 미술의 연구가 이미 진행되어 고려불교미술의 상황을 복원하는데 상당한 성과를 올리고 있으며 적어도 고려미술의 전용을 밝히기 위해서는 그 시대 다방면에 걸친 본격적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