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대 시인들의 별호(别号)
중국 고대 시인들의 별호(别号)
  • 강진신문
  • 승인 2021.12.20 1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김점권의 다시 보는 중국의 고전(5)

 

중국 역사상 유명한 대 시인들을 한마디로 일컫는 별호가 있다. 시신(詩神), 시성(詩聖), 시선(詩仙), 시마(詩魔), 시광(詩狂),시불(詩佛), 시귀(詩鬼), 시골(詩骨), 시걸 (詩杰), 시수(詩囚), 시노(詩奴), 시호(詩豪), 시혼 (詩魂), 능운 시재(凌云詩材), 시가 천자 (詩家天子), 사중지룡 (詞中之龍), 오언장성(五言長城), 은일시인지종 (隱逸詩人之宗) 등이다.

과연 이들은 누구이며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 알아보자.

1. 시신(詩神), 소식(苏轼1037 ~ 1101년) 호는 동파 거사(東坡居士), 북송 쓰촨 성 미산(眉山) 출신이며, 당송 8대가 중의 한 명이다. 소식은 시, 사, 산문, 서예, 그림 등 다방면에 최고의 경지를 이룬 문학가이면서, 특히 그의 시는 시의 제목과 소재가 광활하고 청신 호방하며, 과장 표현이라도 선용하였으며, 독창적인 시적 견해를 표방하여, '시신(詩神)'이라고 불렸다.

2. 시선(詩仙), 이백(李白701 ~ 762년) 호는 청련 거사 (靑蓮居士), 혹은 적선인(謫仙人 : 귀양온 신선)이며, 당나라 시대의 위대한 낭만주의 시인으로서 친구 사귀기와 술을 좋아한, 고대 낭만주의 문학가의 최고봉이다. 이백은 7언절구의 최고 시인으로서 후인들이 그를 가히 따라갈 수 없는 경지에 이르렀으며, 이백의 시상은 풍부하고 기이하지만, 풍격은 웅휘하고 자유분방하였으며, 세밀한 언어 구사와 청신한 자연미를 표현하여, 하늘에서 귀양 온 '시선(詩仙)'이라는 영예를 누렸다.

3. 시성(詩聖), 두보(杜甫712 ~ 770년) 호는 소릉야노 (少陵野老)다. 당대(唐代)의 위대한 현실주의 시인으로서 평생 3천 수의 시를 남겼으며, 특히 안록산의 난을 겪으면서 겪어야 했던 백성들의 고충을 바탕으로 사실적인 시를 썼다. 두보는 평생 제대로 된 관직을 맡지 못하고 방랑하여, 도연명 시인과 함께 가장 가난한 일생을 보낸 불우한 시인이었다. 두보의 시는 세상살이에 대해서 실질적이면서도 종합적으로 논하고, 생각은 깊으며, 거론하는 것은 깊고 광활하여 사람들은 그를 '시성 (詩聖)'이라고 불렀다.

4. 시불(詩佛), 왕유(王維701 ~ 761년 ) 자는 마힐(摩詰)로서 불교 경전에 나오는 마힐거사를 표방하는 독실한 불교 신자이며, 당대의 시인이자 화가로서 자연을 소재로 한 서정시의 대가임, 아울러 수묵 산수화에 뛰어나 남종문인화의 창시자로 명성이 높다. 왕유의 많은 시는 자연을 바탕으로 한 서정시로서 인생을 관조하는 불교 선종의 깊은 의미를 담고 있으며, 선(禪)을 시에 반영하여 '시불(詩佛)'이라 불리게 되었다.

5. 시마(詩魔), 백거이(白居易772 ~ 846년) 자는 낙천 (樂天), 호는 향산거사 (香山居士)다. 당대의 위대한 현실주의 시인으로서 대중이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를 쓴 민중 시인이다. 백거이 시의 소재는 광범위하며 형식도 다양하고, 사용된 시어는 평이하고 통속적이며, 그는 시 작품 하나하나에 각고의 노력을 했다. 후세 사람들은 '술귀신이 시의 마성을 불러왔고, 오전의 비탄은 해 질 무렵까지 갔다'라고 하면서 '시마(詩魔)'라는 별칭을 붙였다.
6. 시귀(詩鬼), 이하(李賀791년~ 817년) 자는 장길(長吉)이며, 어려서 부유한 가정에서 성장하여, 당 황족의 후예로 알려졌다. 그의 시 대부분은 생전에 맛보지 못한 비탄과 내적인 고민을 토로한 시가 많았으며, 이상과 포부에 대한 추구 시가 많았는데, 이는 당시의 환관과 권신들의 횡포에 핍박받는 민중의 고통을 반영하였으며, 불과 26살에 요절한 천재 시인이다.대표작 몽환적인 시 한 수 들어보자.

몽천 (夢天) 하늘의 꿈

늙은 토끼와 두꺼비 하늘에서 우는 듯
반쯤 열린 구름 사이로 밤하늘이 열린다
달 수레 이슬을 밟았는지 달무리 졌고
난새 패옥 드리운 선녀 계수향 가득한 길에서 만나네

신선의 산 아래 육지는 바다가 되고
천년의 세월도 말 달리듯 변해 가는데
멀리서 내려다보니 아홉 점 연기 같고
넘실대는 바닷물은 술잔에 떨어지는 물 한 방울

이하의 시는 용광로 속에서 아름답게 용해되어 조화를 이루는 시의 언어들이며, 생각의 나래는 끝이 없고, 상상 속의 시어는 고금 신화를 넘나들며, 누구도 상상할 수 없는 신비경을 만들어 내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시귀(詩鬼)'라고 불렀다.

7.시걸(詩杰), 왕발(王勃650년 ~ 676년) 자는 자안(子安)이며, 유학자 가문 출신으로 당나라 초기 '초당사걸 (初唐四杰)' 중의 선두를 차지하는 인물이었으나, 아버지를 냇가에서 기다리다 익사하여 26살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왕발은 5 언 절구 시에 달인이며, 시의 흐름이 물이 흘러가듯 자연스럽고, 표현된 시어는 자유롭고 소박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시적 풍격을 지녔다. 따라서 후세 사람들은 짧은 인생에서 시의 언어를 맘깟 구사한 그를 '시걸 (詩杰)'이라고 불렀다.

8.시광(詩狂) 하지장(賀知章659년 ~ 744년) 자는 계진(季眞), 만년에 스스로 호를 짓기를 '사명광객(四明狂客)'이라고 불렀다. 어릴 적부터 시문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이백을 조정에 천거하는 등 많은 사람과 교유하여, '청담 풍류'라는 미명을 얻기도 하였다. 하지장의 시문은 시 문단 하나하나가 절구이며, 마치 제문을 낭독하듯이 자연스럽고, 시어는 경치를 그림으로 그려내듯이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마음속의 추억을 자연스럽게 이끌어 내는 독특한 시풍을 개척하였고, 참신하면서도 호방하였다. 따라서 후세 사람들은 시에 미친 그를 그를 '시광(詩狂)'이라고 불렀다.

9. 시노(詩奴), 가도(賈島779년 ~ 843년) 자는 랑선(浪仙)으로 유년 시절에 승려가 되었으나, 그 유명한 '문을 밀 것이냐(推), 아니면 두드릴 것이냐(敲)'의 시어 선택에 골돌 하다 당시 경조부윤이던 한유의 가마와 부딪힌 인연으로, 환속하고 벼슬길에 나섰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가난한 시인 생활을 면치 못했다. 가도는 가난한 시인으로서 시작(詩作)은 호구지책이었다. 시어는 한때 승려였던 점을 감안하여 깊은 선정의 의미를 담은 시가 많으나, 일생 동안 가난으로 시문으로 연명해야 하는 가도를 후세 사람들은 그를 '시노(詩奴)'라고 불렀다.

10. 시혼(詩魂), 중화시조(中華詩祖), 굴원(屈原기원전 340년 ~ 278년) 전국시대 초나라 대부였으나, 소인배의 참소와 음해로 궁중에서 밀려나 전국을 돌며 시와 사를 지으며 초나라의 애달픔을 노래했다. 굴원은 중국 역사상 제일의 애국시인이며, 그의 출현으로 중국 시가는 한 단계 상승하는 독창적인 신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의 작품으로는 '이소', '어부사'가 있으며, 후세 사람들은 그를 '시혼(詩魂)', '중화시조(中華詩祖)', '사부지조(辭賦之祖)'로 불렀다.

11. 능운시재(凌云詩材), 이상은(李商隱813년 ~ 858년) 당나라 말기 시절의 저명 시인으로, 이상은 시인은 불과 46세에 요절하였으나, 사실 당나라 시절의 수천 명 시인 중 재능이 가장 뛰어난 시인 중 한 명이다. 이상은의 시적 구성은 자유분방하며 진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특히 인간의 애정 표현에 대해서 제목을 정하지 않고, 무제(無題)라는 명목으로 사랑과 아름다움을 미화하고 간절한 마음을 절절하게 표현해서, 민중들로 하여금 널리 애송하게 하였다. 후세 사람들은 이상은에게 뛰어난 재질을 갖춘 시인이라는'구름을 타고 하늘을 나는 시인'이라는 '능운시재 (凌云詩材)'라는 미명을 선사했다.

12. 은일시인지종(隱逸詩人之宗) 도연명(陶淵明352년, 혹은 365년 ~ 427년 ) 자는 원량(元亮), 정절(靖節)이라고 하며, 일명 정절 선생이라고 한다. 그는 동진(東晉) 말에서 남송(南宋) 초기의 위대한 대 시인이자 사부(辭賦)의 대가이며, 중국 제일의 전원시인이다. 도연명은 자연을 읊은 시의 수량은 가장 많으며, 수준 또한 가장 높은 전원시의 창시자라고 해도 무방하다. 자연에 귀의해서 은일 생활을 하면서 뿜어내는 그의 시어는 순박하고 탈속한 신선의 경지에 이르렀으며, 중국 한시의 수준을 한 단계를 높여 놓았다. 후세 사람들은 그를 '은일시인지종(隱逸詩人之宗)'이라고 칭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