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법이나 문양에 따라 불리는 이름도 다양
기법이나 문양에 따라 불리는 이름도 다양
  • 김응곤 기자
  • 승인 2017.08.14 1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청자의 종류

순청자... 그 비취색에 반하다

순청자는 상감이나 다른 물질에 의한 장식무늬가 들어가지 않은 청자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은은한 비취색과 문양, 형태그대로의 자연스러움이 멋이라 할 수 있다. 상감청자가 문양의 독특함을 중요시하였다면 순청자는 색을 생명력으로 삼은 청자로 비교할 수 있다.

순청자는 고려시대초기부터 점차적으로 발전하여 12세기 초에는 그 정점에 이르게 되며 상감청자가 만들어지던 때인 중엽이후 까지도 꾸준히 제작됐다. 특히 표면의 장시무늬 또는 그릇의 형태에 따라 다시 소문청자, 양각청자, 음각청자로 나뉜다. 소문청자는 어떠한 장식도 하지 않은 순수청자로 순청자 본래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

 

고려시대 대표했던 '상감청자'

일반인들이 가장 많이 떠올리는 청자의 대표적이다. 상감청자란 청자에 상감기법으로 문양을 나타낸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바탕흙으로 그릇모양을 만들고 그 표면에 나타내고자 하는 문양이나 글자 등을 파낸 뒤 그 패인 홈을 회색의 청자 바탕흙 또는 백토(白土)나 자토(紫土)로 메우고 표면을 고른 후 청자유약을 입혀 구운 방식이다.
 도자기에 상감한 것은 우리나라 고려시대에 처음 나타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고려시대 청자에 상감으로 문양을 나타내기 시작한 것은 대략 12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며 가장 세련미를 보인 시기는 12세기 중엽 무렵부터다.

 

청자의 변신...'철화청자'

철화청자는 회청색 태도로 틀을 만든 뒤 문양을 그리고 청자유를 발라 구워서 만든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옛 문헌에 석간주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회고려(繪高麗), 화청자(畵靑磁), 철회(鐵繪)청자로 불리기도 한다. 그릇모양은 매병과 광구장경병 주전자, 기름병 등이 많으며 발색이나 문양 등에도 전형적인 고려청자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환원염 번조의 고려청자와는 달리 대개 산화염 번조였기 때문에 일부의 예를 제외하고는 황갈색인 경우가 많다. 또 대개의 경우 유약이 얇고 바탕 흙 속에 모래 등의 불순물이 섞인 것이 많아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다. 철화청자는 중국 송, 원나라의 자주요 계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11세기 초에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붉은빛'의 멋스러움, 진사청자

진사청자는 산화동으로 문양 또는 문자를 넣고 그 위에 청자잿물을 발라 소성한 청자로 일반적으로 붉은색을 띠고 있다. 진사란 동염이 산화되어 붉은색을 띄는 것을 말한다. 안료의 명칭에 따라 동채, 동화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산화동은 적색으로 산화염에는 녹색으로 발색하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붉은 색을 의미하는 진사로 부르는 편이 좋겠다. 진사청자를 생산하기 시작한 연대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일부 학자들은 12세기 중반~13세기 초반으로 추측하고 있다. 진사청자는 고려청자 중에서도 그 수가 가장 적은 것으로 매우 희귀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억! 소리' 나는 청자들

모란꽃이 몸체 전면에 상감된 모란무늬 정병은 현재 청자박물관 1층에 위치한 유물전시관 한 가운데에 놓여 있다. 지난 2009년도 당시의 매입가격은 10억원으로 청자박물관에서 가장 고가의 청자로 불리고 있다. 정확한 명칭은 '청자상감모란문정병'(사진)이다.

이 정병은 고려 1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높이41.5㎝ 몸체 지름 14.5㎝의 크기에 일반 물병과는 달리 물을 담는 입수구가 몸체 옆에 있다. 물을 따르는 출수구는 가늘고 긴 형태로 위쪽에 위치해 독특한 형태의 모습이다.

1층 기획전시실 중앙으로는 '청자상감매로학접문사이호(이하 사이호)'가 눈길을 끈다. 사이호는 지난 2009년도 강진군이 구입한 청자 중의 하나로 그동안 전시는 했지만 독립장에 따로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갈대를 중심 소재로 한 독특한 구성이 특징으로 형태와 문양의 완성도, 비색, 그리고 기형의 희소성 측면에서 고급 청자에 속한다. 매입당시 가격은 3억원대라는 후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