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농가들, 정전 대응 자구책 세워야
강진농가들, 정전 대응 자구책 세워야
  • 김응곤 기자
  • 승인 2016.12.02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전지역 700가구 정전... 신예, 장등 100분 동안 '깜깜'

지난달 26일 오전 8시3분께 성전면 일대에서 정전이 발생해 700여 가구에 전력공급이 끊기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전은 곧바로 인력을 투입해 복구에 나섰지만 성전면소재지 소재 식당과 주택 등 350여 세대가 66분 동안 불편을 겪었다.

특히 신예·장등 지역은 시설 복구 작업이 100분 가까이 소요되면서 40여 세대 주민들의 불편과 불만이 잇따랐다. 이번 정전은 신예마을 부근에 설치된 전신주의 부품이 훼손돼 발생한 것으로 한전은 파악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 강진지사 관계자는 "전신주 꼭대기에 설치된 전선고정용 쇠막대기인 어깨쇠에 점프선이 훼손되면서 발생한 것"이라며 "까마귀 등의 조류로 인한 훼손으로 파악 된다"고 밝혔다. 한전은 이날 정전으로 성전 일부 식당에서 불편 민원이 제기됐을 뿐 시설물이나 재산상의 피해발생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덧붙였다.
 

■無고장 자부심, '1천214일'만에 무너져

이번 정전발생으로 '심적 피해'를 겪은 쪽은 오히려 한전 강진지사다. 정전이 자연재해나 불가항력적 요인이 아닌 자체 사고로 결론나면서 무고장 일수 기록이 3년3개월 만에 출발점으로 되돌아갔기 때문이다.

한전 강진지사는 정전 발생 전날까지 배전선로에 5분 이상의 고장이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으면서 무고장 일수 1천214일을 기록 중이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강진지사 한 관계자는 "전국 각 지사마다 무사고 일배수 목표를 정하는데 대게 목표치의 2배수를 달성하는 곳이 드물 정도다. 그런데 강진지사는 2배수를 넘어섰고 3배수(1800일)달성을 목표로 향하는 분위기였다"면서 "그만큼 이번 정전으로 인한 직원들의 상심이 큰 것은 당연한 결과다"고 전했다. 즉, 무고장 일수의 기록은 완벽한 설비관리를 의미했고 이는 곧 한전 강진지사 직원들의 자부심으로 여겨졌던 만큼 아쉬움도 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더욱이 올해까지 광주·전남 지역에서 무고장 일수 1천200일을 넘어선 지자체는 강진군을 제외한 한두 곳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직원들의 아쉬움은 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국에서 최초로 1천200일을 넘어선 지사는 작년 3월 남원지사로 언론에 보도되고 있으며 가장 근래에는 청양지사가 지난 5월 10일 기준, 무고장 1천221일을 달성하며 전국에서 우수한 기록을 거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강진농가들, 정전 대응감각 무뎌졌다?

한전 내부에서는 무고장 기록의 성과가 자칫 주민들의 정전 대응능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전력 빅테이터 센터가 공개한 전력통계정보에 따르면 강진지역의 농사용 전력사용량은 7백90여kwh로 전체 전력사용량의 35%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비중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농가의 자구책 마련 비율은 극히 낮은 것으로 한전 측은 내다보고 있다.

강진지사 한 관리책임자는 "화훼나 원예시설 농가의 경우 갈수록 전기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반면 정전에 대비하는 감각은 오랜 기간 무뎌지면서 그에 따른 피해도 적잖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더욱이 한전 측이 배전자동화시설 도입과 과학적 장비를 활용한 설비진단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나서고 있지만 자연재해나 시설노후화 등 여러 가지 불가피한 원인으로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만큼 자구책 마련의 필요성은 여러 번 강조되고 있다.  

지금까지 정전사고에 따른 영농보상 등의 한전 책임사례가 전국적으로 드물다는 것도 자구책 마련 필요성의 또 다른 이유다.

한전 관계자는 "24시간 365일 정전이 될 수 없게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면서 "정전이 발생할 경우 '정전 민감'대상에 문자로 상황을 전송하고 있지만 휴일이나 야간에는 즉시 전송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만큼 농가 스스로가 정전피해 최소화를 위한 예방대책을 갖춰야한다"고 말했다.

특히 겨울철 경제적 손실 우려가 큰 시설작물 비닐하우스의 경우 계속해서 거주하는 곳이 아니므로 전기사용 유형에 맞춰 비상발전기나 보온대체장비 설치 등 정전피해 예방을 위한 자구책이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