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공동체마을'관심과 지원 늘려야'
복지공동체마을'관심과 지원 늘려야'
  • 김응곤 기자
  • 승인 2015.07.04 16: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체적 수익사업 한계... 추가지원 없어 사업 지속성 '우려'
주민들, "행정지원 적극 강화해야"

지난 1일 병영면 동삼인 마을회관. 부녀회원 20여명이 모여 앉은 가운데 건고사리를 비닐에 넣어 포장하는 작업이 한창이었다. 주민들이 지난 4월 마을 이곳저곳에서 수확해 말려놓은 것들이다. 작업은 한 쪽에서 무게를 달아 일정간격으로 놓아두면 다른 한쪽에서는 비닐로 보기 좋게 포장해가는 방식이었다. 이런 생활에 제법 익숙한 듯 주민들의 손놀림은 규칙적이었고 호흡은 척척 맞았다.

이렇게 포장된 건고사리는 200g에 2만5천원~3만원에 팔리는데 소비층은 주로 타 지역에서 거주하는 가족이나 향우들이다. 판매한 금액의 일정액은 복지공동체를 위한 자금으로 쓰였다.

주민들이 공동 작업에 나선 것은 지난 4월부터다. 강진군이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지역복지공동체마을 시범사업에 선정된 게 가장 큰 계기였다. 마을의 갖가지 복지문제와 민원사업을 주민 스스로 해결하자는 게 목표였고 주민복지에 필요한 자구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마을공동체의 수익사업은 필수적 선택이었다.

당초 판매품목이 다양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참기름이나 들기름부터 고추장과 매실액, 미숫가루 등 종류만도 6~7가지나 됐다. 지속가능한 복지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 주민들이 하나 둘씩 개척한 '사업 아이템'들이다. 싼 가격에 신뢰성까지 갖추다보니 소비자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참기름이나 들기름은 만드는 족족 동이 났고 고추장은 70~80㎏의 양을 만들어도 늘 부족했다. 미숫가루는 하루에 40㎏넘게 팔리기도 했다. 주민들은 흥이 났고 복지마을조성에 필요한 공동체자금은 그렇게 차곡차곡 쌓여갈 것만 같았다.

수익사업에 위기를 맞은 것은 지난달부터였다. 법적문제가 예상 밖의 걸림돌이 됐다. 식품가공에 있어 정식적인 절차와 공식적인 허가를 받아야했지만 이를 따르지 않았던 것이다. 무지(無知)에서 비롯된 실수였다.

최경숙 이장은 "순수한 의도라도 결국 위법에 해당하는 행위인 만큼 판매를 중단해야했다"며 "현재는 직거래가 가능한 농산물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보니 공동체자금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다"고 말했다. 수익사업의 확대에 있어 뾰족한 대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복지공동체마을의 미래에 대해서도 안정을 보장할 수 없다는 의미다.

군은 지난 4월 병영 동삼인마을과 함께 군동면 오산, 대구면 백사, 도암 만세, 신전 수양마을 5곳을 시범마을로 선정하면서 복지공동체마을사업에 뛰어들었다. 이들 마을에는 사업비 명목으로 각각 500만원을 지원했다. 자체적으로 복지공동체를 구성하고 현안사업을 해결하라는 취지의 비용이다. 독거노인들의 반찬제공이나 집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일정부분 지원해주는 게 대표적 쓰임새였다.    

문제는 복지공동체마을운영사업이 단순히 지자체의 사업비제공 형태로만 그치고 있는데다 추가적인 지원계획마저 없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사업의 지속성여부에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 한 주민은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의 소득사업이 필요한데 이를 마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를 바라는 행정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는 요구"라고 전했다. 지속가능한 복지공동체 마을 형성을 위해서는 행정적 관심과 지원이 일정기간 필요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복지공동체마을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의식교육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한 면사무소관계자는 "사업의 목표와 추진방향에 대한 눈높이를 주민 서로가 맞춰야하는데 이는 마을 자체적으로 풀어가기에 현실적 한계가 있을 수 있는 문제"라며 "복지공동체마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정책적 교육이나 프로그램지원 또한 일정기간 필요하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